본문 바로가기

정형외과48

뼈가 순두부처럼 약하대요! '골다공증' 에 대해 알아봅시다. 요즘 너무 바빠서 글 포스팅을 잘 못하고 있네요 ㅎㅎ 다시한번 열심히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가장 정형외과에서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질환중에 하나는 바로 '골다공증' 입니다. 뭔가 구멍이 송송 뚤려있을 것 같은 단어 입니다. 제가 진료하는 환자분들 중에도 꽤 많은 환자가 상기 질병으로 병원을 방문합니다. 예전에는 기준자체가 지금보다 더 심할 경우에만 골다공증이라고 정의를 하였는데 점차 그 기준이 낮아지고 있는 추세이며, 나이가 든 환자가 많아지면서 골다골증을 진단받는 환자가 매우 많아지고 있습니다. 해외에서는 전문 코디네이터가 있을 정도로 활발하게 발전하고 있는 분야이지만 국내는 아직 그정도 까진 발전하지 못했습니다. 골다공증이란? 골다골증(osteoporosis)는 골무기질과 골기질의 .. 2020. 8. 3.
[전문] 정형외과의 모스부호! 'AO/OTA classification(2018)' 배워봅시다. 예전 전공의 시절, 열심히 응급실을 보던 때가 있습니다. 응급실에서 정형외과는 주로 외상 환자를 보게 되는데, 어디가 부러지거나 찢어지거나 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타원으로 전원을 보내거나 의사들끼리 보고해야하는 경우도 생각보다 많습니다. 그럴때 유용한 것이 바로 AO/OTA classification 입니다. 물론, 각 골절마다 분류하는 방법이 다양하게 있어서 분류법으로 세분화해서 보고를 하긴 하지만 부위 별로 가장 흔하게 보고 할 수 있는 수단 중에 하나입니다. AO분류는 골절부위숫자(뼈가 두개있는 부위는 2R,2U 등으로 분류) + 근위중위원위숫자 + 골절타입영어 + Universial modifier숫자 로 구성됩니다. 상완골이 1번 (견갑골 14, 쇄골15 흉곽16인데 상완골의 연장이라고 보면.. 2020. 7. 20.
운동을 시작하시는 분이라면 꼭 알아두어야하는 '표재 근육 해부학' 요즘은 많은 젊은분 & 나이드신 분들이 '운동' 을 건강을 위해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우리가 운동으로 키우고자 하는 근육의 경우 대부분이 skeletal striated muscle로 이루어저 있으며 isometric, concentric, eccentric 의 방식으로 수축, 이완을 하게 됩니다. (심장근육과 내장근육은 다소 다릅니다) 근육은 수축과 이완을 통해 성장을 하게 됩니다.가장 기본적으로 근육의 이름과 모양을 알아두어야 운동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근육은 개인마다 크기가 다르거나, 변형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1. 근육의 전면 ▣2. 근육의 후면 3대 운동이라고 하면 squat, bench, deadlift 입니다. 등운동이나 코어운동하면 몸의 가장 큰 근육을 키우는 것으로 전면의.. 2020. 7. 17.
[전문] 뼈가 안붙거나 이상하게 붙었어요! '지연유합, 불유합, 부정유합' 2020/05/28 - [외상] - [전문] 뼈가 부러졌어요! 수술을 하는 이유를 알아봅시다.[전문] 뼈가 부러졌어요! 수술을 하는 이유를 알아봅시다.우리 인간의 뼈는 수산화인회석이라고 하는 인산칼슘으로 대부분 이루어진 화합물 입니다. 당연히 이러한 화합물에, 큰 힘이 작용하게 되면 골절 이라는 상황을 맞게 됩니다. 골절은 개방성 골�docson.tistory.com제가 이전에 포스팅한 글과 같이 골절이 생기면 '유합' 이 이루어져야, 이전처럼 모양이나 기능을 유지하게 됩니다. 하지만 골유합이 잘 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지연유합(Delayed Union)대게 3~6개월 동안 골유합의 진행이 없는 경우 를 의미합니다. 치료로는 석고나, 스플린트를 조금 더 기능적으로 움직이게 하여 골형성에 자극이 되도록.. 2020. 7. 16.
[전문] 피부를 안열고도 뼈를 낫게 할 수 있는 '외고정기' 심한 골절 환자나, 특정 골절 환자들은 바깥에서 고정을 하는 '외고정기(EF: external fixator) 를 사용해서 뼈를 고정하기도 합니다. 밖에서 뼈를 고정하기 때문에 핀 부위의 감염의 가능성은 높아지지만 피부를 크게 절개할 필요가 없으며 수술시간이 매우 짧기 때문에, 족부나 특정 분야에서는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외고정기는 심한 개방성 골절 (2, 3 등급) 화상과 관련된 골절 Cross leg flap 이 필요하거나 free vascularized graft 가 필요하거나 재건술이 필요한 골절의 경우 신연이 필요한 골절 사지 연장술 관절고정술 감염된 골절 및 불유합 부정유합의 교정 등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골반 골절이 있거나 전이가 있는 경우 골반골의 개방성, 감염성 불유.. 2020. 7. 15.
부모님 어깨가 아파요! 저녁마다 아파하세요! '유착관절낭염(오십견)' 의심하세요! 진료실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질병 유형입니다.중년 환자분들 중에 견관절 통증을 호소하며, 관절범위가 줄어 외래를 방문하시는 분들이 참 많습니다. 40~70세의 중년에서 생기는 질병으로, 주로 여성에게 생기며 자주 사용하지 않는 팔에서 주로 생깁니다. 양쪽 어깨로 오는 경우는 전체환자 중에 20~30% 정도 됩니다. 당뇨나 목디스크, 기브스를 오래하거나, 갑상선 항진증, 뇌졸증, 심근경색, 자가면역질환, 외상 등의 환자군에서 더욱 많이 발병합니다. 거의 모든 환자들에서 '고정' 기간이 있는 것으로 보았을 때, 관절을 아에 사용을 안하고 움직이지 않는 것이 가장 큰 병인으로 주목 받고 있습니다. (외상이 없는 환자에게도 생깁니다.) 증상으로는 가장먼저 견관절의 내회전이 어려워지고 그 이후 굽힘과 외회전이 어.. 2020. 7. 9.
[전문] 아이가 갑자기 걷지못하고, 고관절을 아파해요! '일과성 윤활막염' 을 의심하세요 진료실에서 종종보는 케이스입니다. 잘 걷던 아이가 갑자기 다리가 아프다며 걷지도 못하고 울기시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게 이런 아이들은 외래 보다는 응급실로 오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대게 3세에서 10세의 아이에서 주로 발병하며 특별한 이유 없이(큰 외상없이) 갑자기 자고 일어났는 데 아프다고하며 울면서 보행을 못하게 되었다면 바로 이 '일과성 윤활막염' 을 의심해 보아야합니다. 글자 그대로 일과성이라는 뜻과 같게 1~2주 정도 임상증상이 있을 수 있으며, 고관절통증과 파행을 가져오게 됩니다. 이유는 모르겠지만 남아에서 2~4배 많이 발생하여 양측이 같거나, 우측에서 주로 생깁니다. 양측으로 오는 경우도 5%정도에서 있습니다. cf. 우리몸의 관절은 발생학할 때부터 관절액이 담겨 있어야 하기 때문에.. 2020. 7. 3.
[전문] 엄지손가락 아래가 아파요! 놓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주상골 골절' 젊은 환자분들중에 넘어지고나서 손을 짚고나서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다가 바로 이 골절로 인해 고생하는 환자들이 꽤 있습니다. 골치아픈 골절이 될 가능성 이 높은 ‘주상골 골절' 입니다. 엄지손가락 뼈와 연결되어 있는 '큰마름뼈' 안쪽에 있는 뼈 입니다. 이 배모양의 뼈가 이야기되는 이유는 생각보다 많은 환자분들이 골절인지 놓치기 쉽기도 하며, 불유합이 되기 쉬운 뼈이기 때문입니다. 손의 골절중에는 가장 흔한 골절로서, 진단이 늦어지면 치료도 늦어지게 됩니다. 즉, 진료를 받지 않는다면 예후가 나빠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손목을 삐었는데 좀 심하게 삐엇다 싶으면 무조건 영상의학적 검사(X-ray)를 시행해 보아야 합니다. 특이한 점은 처음 시행한 엑스레이에서 '음성' 이 나왔더라도, 통증이 계속되거나.. 2020. 6. 29.
[전문] 다리 길이가 달라요! '사지 부동(LIMB LENGTH DISCREPANCY) ' 에 대해 알아봅시다. 사지 부동은 정형외과에서 생각보다 많이 접하게 되는 문제 중 하나 입니다. 2cm 이내의 차이일 때는 증상이 없기 때문에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상지의 부동은 부동이 있더라도 문제가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상지의 기형적인 부동 외에는 '사지부동'이라고 하면 '하지부동' 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사지 부동의 원인은 정상 측을 기준으로 단축된 경우와, 증가된 경우로 나눌 수 있습니다. 단축된 경우는 선천성 하지결손, 외상에 의한 부정유합, 성장판 조기유합, 감염, 종양, 방사선조사, Blount씨 병, Legg-Calve-Perthes 병, 대퇴골두 골단불리로 인한 성장판의 손상(SCFE), 비대칭적 신경마비(편측 수막류, 소아마비, 뇌성마비), 특발성 혹은 Russel-Silver 증후군.. 2020. 6. 15.